소아 결막염 증상, 종류, 의심사유, 전염성은?
오늘은 소아 결막염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결막염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있고 , 결막염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어떤 경우 결막염을 의삼해야 하는지..
전염성은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아 결막염이란?]
결막염은 결막이 충혈되어서 눈곱이 자주 끼고 눈이 가렵고, 이물감을 느끼는 눈병입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결막에 염증이 생겨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레르기,
전신적인 병이 원인이 되는 무서운 병입니다. 결막염은 발생 원인에 따라서 바이러스성 결막염, 세균성 결막염으로 나워집니다.
[소아 결막염의 증상]
-아이가 사물이 뿌옇게 보인다고 할 경우
-눈이 빨갛고 눈 주위가 부풀어오를 경우
-눈이 일주일 넘게 빨갈경우
-눈곱이 심해서 위아래 눈커풀이 붙는 경우
-매우 노란 눈곱이 낄 경우
위에 같은 증상이 보인다면 바로 소아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소아 결막염의 종류는?]
1)바이러스성 결막염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결막염으로 감기와 함꼐 동반된다고 합니다. 노란색 분비물은 나오지 않고 눈만 빨갛게 변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눈에 자극을 받아서 생기는 결막염도 바이러스성 결막염과 증상이 같다고 하네요. 연기, 스모그, 샴푸, 수영장물의 염소 성분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어린아이의 경우 음식, 비누, 더러운 물질 등을 손으로 만진 후에 눈을 비벼서 걸린다고 하네요.
2)세균성 결막염
감기로 인한 합병증으로 발생하는데 여러가지 세균에 의해 발생하고 고름이 나오는 특징이 있다고 합니다.
눈이 빨갛게 변한다면 바이러스성 결막염이고 눈에서 노란 눈곱이 나오고 분비물이 나온다면 세균성 결막염으로 생각 할 수 있겠네요.
[소아 결막염의 이심되는 경우는?]
1)바이러스성 결막염의 경우
-안쪽 눈커풀이 빨간 경우
-눈의 흰자위가 빨간 경우
-수액성 분비물만 있고 노란 눈곱이 없는 경우
2) 세균성 결막염이 경우
-흰자위가 빨갛고 분홍색일 경우
-낮잠 후 눈커풀에 고름이 보일 경우
-눈에서 노란색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소아 결막염의 전염성은?]
어른이나 어린 아이나 병이 가장 무서운 것 중에 하나는 바로 전염성에 있겠죠. 소아 결막염의 경우 전염성이 엄청 강하다고 합니다.
눈에서 나온 고름이 다른 사람 눈에 들어가면 바로 전염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네요. 그렇기 때문에 눈병이 있는 아이는 웃과 수건을 다른 가족구성원과 따로 써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이 눈을 자주 손으로 비비면 안된다고 하네요.
--
오늘은 소아 결막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결막염도 무서운 병이군요. 미리 손을 잘 닦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중요하겠고, 눈에 좋지 못한 물질이 눈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겠네요!
소아결막염에 대해서 좋은 공부를 한 것 같습니다.
소아 간질 원인, 증상, 진단을 알아볼까요? (0) | 2019.12.18 |
---|---|
아기가 감기가 걸렸다면? (아기, 원인, 소아 감기 대처법, 의심 증상) (0) | 2019.12.17 |
가와사키병 원인, 증상, 치료법은? (0) | 2019.12.16 |
녹차효능 알고 녹차를 즐겨볼까요?? (0) | 2019.08.31 |
보이차효능 알아봅시다. 알고 먹어요 보이차 (0) | 2019.08.31 |
댓글 영역